
Collection 배열을 이용하게 되면 고정크기이기 때문에 비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. 유동 크기의 데이터를 효율적으 로 관리하기 위해 Collection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. List 중복을 허용하고 저장 순서가 유지되는 인터페이스다. ArrayList List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때문에 중복을 허용하고 저장 순서가 유지되는 자료구조이다. 배열이 동적으로 늘어 나는 것이 아니고 배열이 꽉 차게 되면 더 큰 새로운 배열을 생성해서 기존의 배열에 저장된 내용을 새로운 배열 로 복사한다. LinkedList LinkedList역시 List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때문에 중복을 허용하고 저장 순서가 유지되는 자료구조이다. 하나의 노드는 다음 노드의 주소를 가지고 있어서 요소들이 연속적으로 ..
Java
2022. 2. 5. 15:53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nginx
- SpringSecurity
- JPA
- level0
- EC2
- OS
- AWS
- N+1
- 기술면접
- Java
- Travis CI
- 네이버클라우드
- ci/cd
- 람다식
- 트랜잭션격리성
- CodeDeploy
- SpringGraphQL
- 파일업로드설정
- ddl-auto
- spring
- 인덱스
- Til
- graphql
- db
- 트랜잭션
- ORA-27125
- 프로그래머스
- Oracle
- TCP
- 운영체제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